3.1 사건 1
“장준하 형, 자네가 있었더라면 세상이 이렇게 어둡지 않았을 텐데...”
1976년 2월의 어느 날, 나의 형 문익환은 책상 위에 놓인 장준하의 영정 사진을 들여다보며 혼자말로 중얼거렸다. 장준하가 죽은 지도 벌써 반년이 넘었다. 의문에 쌓인 그의 죽음은 그대로 땅속에 묻혀 버린 것 같았다. 긴급조치 9호가 서슬 퍼렇던 그해 겨울은 고요하기만 했다. 나의 형은 신구교가 공동으로 성서번역의 위원장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민주화 운동에는 직접 나서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이미 70년대 초반부터 그의 마음은 이미 민주화와 통일에 관한 생각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는 장준하의 죽음을 겪으며 큰 충격을 받았다. 그의 사진을 보며 어린시절의 친구 윤동주도 자주 떠올렸다. “동주야 네가 살아있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네가 살아있었더라면 가만히 있지는 않았을 텐데...”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자기 자신이 답답하고 부끄러웠다.
그 순간 사진 속의 장준하가 “자네는? 자네는 왜 못해?”라고 말을 하였다. 그 말을 듣고 형은 화들짝 놀랐다. 그리고는 다가오는 3월 1일에는 뭔가 일을 벌여야겠다고 결심을 하고 펜을 들어 민주구국선언문의 초안을 쓰기 시작했다. 형은 초안을 작성하고 나에게 찾아와서 성명서를 보여주었다. 나는 초안을 읽고 몇 가지 제안을 한 후 경제에 관한 것은 이문영 교수에게 의논을 하라고 했다.
이심전심이었는지, 미리 의논을 하지도 않았는데 그 즈음 김대중 선생 역시 3.1 절을 맞아 뭔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면서 김수환 추기경을 만나고 있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래서 형은 김대중 선생과 함께 선언문 초안을 작성하게 되었다. 당시 가택연금 상태로 삼엄한 경계 속에 지내시던 김대중 선생과는 나의 제자이자 나중에 새벽의 집에 들어와서 함께 살게 된 김성재가 연락책을 맡았다. 암호는 “한복”이었다. “한복”이 다 됐다는 전화를 받으면 김성재는 이희호 여사의 동생 목동이모의 집으로 가서 선언서 초안을 가지고 안국동 윤보선 전 대통령 집으로 가지고 왔다. 우리는 그 집에 모여서 초안을 검토하였다. 김대중 선생의 초안은 우리가 보기에는 너무 부드러웠다. 나의 형은 좀 더 명확하게 쓰자고 했고, 김대중 선생이 보시기에 우리의 초안은 너무 강경하다고 해서 서너 번에 걸쳐서 의견 조정을 했다. 가톨릭 신부들에게도 연락을 취했다. 나는 이미 70년대 초반부터 소위 운동권 신부들이었던 함세웅, 김승훈, 신현봉, 문정현과 가까이 지내면서 유신정권에 맞서 함께 신구교가 함께 하자고 의기투합하고 있던 차였다. 그러나 신부들은 주교의 승낙이 없이는 성명서에 서명을 할 수 없다면서 장소인 명동성당에서 기도회를 가질 수 있도록 주선해 주었다. 봉원동의 정일형 박사와 이태영 변호사도 선언서에 서명을 하였다. 시간이 촉박했기에 갈릴리 교회의 동지들에게는 뒤늦게 이 일을 알렸다. 서로 믿는 동지들이기에 양해하리라고 믿었다. 그러나 정작 이 일의 주동자였던 형의 이름은 성명서에서 빼기로 하였다. 성서 번역이 끝나기는 했지만 마지막 원고 정리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어느 누구도 사건이 그렇게 크게 번지리라고 예상을 하지 못하기도 했다. 우리들은 모두 주동자가 형이라는 사실을 밝히지 않기로 입을 맞추었다. 민주구국선언문에 서명한 이는 함석헌, 윤보선, 김대중, 정일형, 이태영, 이우정, 서남동, 안병무, 이문영, 윤반응, 문동환, 김지하?(그 외 정확히 누구인지?) 이었다.
드디어 3월 1일, 사람들이 명동 성당으로 모여들었다. 강당은 사람들로 가득 찼으나 무거운 침묵이 감돌고 있었다. 일곱 시가 되자 김승훈 신부의 뒤를 따라 성의를 입은 신부들이 줄을 서서 입장을 했다. 3.1절 기념 미사가 끝난 뒤 신구교가 같이 하는 기도회를 가졌다. 이 기도회에서 나는 짧게 설교를 했다. 나는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데리고 나온 모세는 가나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민족의 지도권을 여호수아에게 넘겨주었다. 그랬기 때문에 후에 가장 위대한 예언자라고 높이 찬양을 받았다. 그러므로 박정희도 이 시점에서 물러선다면 한국 역사에서 높이 평가를 받는 인물이 될 것이다. 그러기에 자신의 앞날을 위해서는 권좌에서 용퇴하라고 충고를 했다. 이런 설교를 하는 나도 흥분했지만 청중들도 굉장히 흥분을 했다.
그 뒤 이우정 선생이 나와서 3.1 민주구국선언문을 낭독했다.
“이때에 우리에게는 지켜야 할 마지막 선이 있다. 그것은 통일된 이 나라, 이 겨레를 위한 최선의 제도와 정책은 국민에게서 나와야 한다는 민주주의의 대헌장이다.”
작은 키의 이우정 선생이 또랑또랑한 목소리로 선언문을 낭독하자 청중들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 모임을 기도회라고 생각했지 긴급조치 9호를 비판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자리인 줄은 전혀 몰랐기 때문이었다. 기도회가 끝나고 언덕을 내려오는데 종로 5가를 들락거리던 중앙정보부원이 내 옆으로 와서는 “문 박사님, 그런 성명을 발표하고도 무사할 줄 아십니까?”라고 경고를 하고 사라졌다. 그때야 비로소 나는 ‘이젠 정말 교도소 생활을 하나 보다.’라는 생각이 몸속으로 스며들었다. 그날 밤, 성명서를 낭독한 이우정 선생이 가장 먼저 연행되었다. 이우정 선생은 원래 우리와 같이 “새벽의 집”에서 생활을 하다가 독신 여성들이 같이 모여 사는 공동체를 이루어 보겠다고 나갔다. 양정신 목사와 함께 가까운 방학동에 집을 마련하여 살고 있었다. 그 집에서 가사를 돕는 여자 아이가 밤중에 와서 우리에게 이우정 선생님이 연행 소식을 전해주었다.
'공부 >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동환목사 29] 그런 성명 내놓고 무사하겠소? (0) | 2019.03.18 |
---|---|
[문동환목사 28] 갈릴리교회 (0) | 2019.03.18 |
[문동환목사 26] 장준하의 죽음 (0) | 2019.03.17 |
[문동환목사 25] 해직 교수들 ‘민중 십자가’ 지다 (0) | 2019.03.15 |
[문동환목사 24] 해직 교수, 울 시간이 없었다 (0) | 2019.03.15 |